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토킹 행위의 유형 및 성립 조건, 처벌 규정, 피해자의 보호 조치,예방 및 대처 방법 등 관련된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5. 3. 7. 11:00
    반응형

    스토킹 범죄 처벌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스토킹 범죄의 정의

    스토킹 범죄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접근하거나 감시, 위협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2021년 10월 21일부터 시행된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처벌법)**에서 이에 대한 정의와 처벌 규정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1) 스토킹 행위의 유형

    다음과 같은 행위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지속적·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스토킹 범죄에 해당합니다.

    1. 접근 또는 따라다니기: 상대방 또는 그 가족·동거인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는 행위
    2. 주거지·직장 등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기
    3. 우편·전화·온라인을 이용한 의사 전달: 전화, 문자, 이메일, SNS, 인터넷 게시물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락하는 행위
    4. 물건 보내기: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는 선물·물건을 보내는 행위
    5. 명예훼손 및 모욕: 상대방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 모욕적 언행
    6. 위협적인 행동: 신체적 위협, 폭력 행위, 협박

    (2) 스토킹 범죄의 성립 요건

    •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지속적·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 상대방에게 공포감 또는 불안감을 유발하는 경우
    반응형

    2. 스토킹 범죄의 처벌 규정

    (1) 기본 처벌 규정

     

              범죄 유형                        법적 근거                                                   처벌 수위

    스토킹 범죄 스토킹처벌법 제18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흉기 등 이용 시 스토킹처벌법 제18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 단순한 경범죄 수준이 아니라, 중범죄로 다루어짐
    • 반복적인 스토킹 행위가 확인될 경우 경찰이 직권으로 수사 가능

    (2) 긴급조치 및 법적 대응

    스토킹 행위가 지속될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1. 긴급응급조치 (스토킹처벌법 제4조)
      • 경찰이 즉시 100m 이내 접근 금지
      • 전화·문자·SNS 등 연락 금지
      • 응급조치를 위반하면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잠정조치 (스토킹처벌법 제5조)
      • 경찰·검사가 법원에 청구 가능
      • 접근 금지, 구치소 유치(최대 1개월) 등의 강력한 조치 가능
    3. 보호처분 (스토킹처벌법 제11조)
      • 피해자 보호를 위해 법원이 접근금지, 치료프로그램 이수, 보호시설 입소 등을 명령할 수 있음
    4. 전자발찌 부착 명령
      • 반복적인 스토킹 범죄자는 전자발찌 부착 대상이 될 수 있음

    3. 스토킹 피해자의 보호 조치

    스토킹 피해자는 다음과 같은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신변 보호 요청: 경찰서에 신변 보호 요청 가능
    2. 임시 보호시설 이용: 보호시설 또는 쉼터 제공
    3. 주거지 변경 지원: 심각한 경우 새로운 거주지 지원
    4. 법률 상담 및 무료 소송 지원
    5. 스토킹 피해자 지원센터 운영

    4. 스토킹 범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 문제점

    • 처벌 기준이 아직 완전하지 않음: 스토킹이 ‘반의사불벌죄’(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범죄)였으나, 개정안이 논의 중
    • 경찰의 초기 대응 미흡: 피해 신고 후 적극적인 대응이 부족한 경우 발생
    • 스토킹 범죄 재범률 높음: 가해자가 처벌 후에도 다시 접근하는 경우 많음

    (2) 개선 방안

    • 반의사불벌죄 조항 삭제 (2023년 개정 논의)
    • 피해자 보호 강화 (전자발찌·신변 보호 강화)
    • 경찰 대응 강화 및 신속한 법적 조치 시행

    5. 스토킹 범죄 예방 방법 및 대처 방법

    (1) 예방 방법

    1. 개인정보 노출 최소화 (SNS·전화번호 관리)
    2. 낯선 사람의 접근 경계
    3. 주변인에게 상황 공유 (가족·친구·회사 동료 등)
    4. 의심스러운 연락은 차단 및 신고

    (2) 대처 방법

    • 즉시 경찰 신고 (112)
    • 스토킹 증거 확보 (문자, 전화 기록, CCTV 영상 등)
    • 법률 상담 및 접근금지 신청
    • 피해자 보호 기관 이용

    스토킹 범죄는 단순한 괴롭힘이 아니라 심각한 범죄 행위로 간주됩니다. 2021년 스토킹처벌법 제정 이후 처벌이 강화되었지만, 여전히 피해자 보호 및 추가적인 법 개정이 필요합니다.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피해를 입었다면 신속한 법적 대응과 경찰 신고가 중요하며, 주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