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가정폭력 피해자가 접근 금지를 신청하는 방법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가정폭력 피해자가 접근 금지를 신청하는 방법
가정폭력 피해자는 가해자로부터의 추가적인 폭력이나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법적으로 접근 금지 명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접근 금지 명령은 법원에서 발부하며,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물리적·정신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조치입니다.
(1) 접근 금지 신청 대상
- 배우자 또는 사실혼 배우자에게 폭력을 당한 경우
- 전 배우자에게 폭력을 당한 경우
- 동거하는 가족(부모, 형제자매, 자녀 등)에게 폭력을 당한 경우
- 연인 관계(데이트 폭력)에서 폭력을 당한 경우
반응형2. 접근 금지 신청 절차
(1) 경찰 신고 및 임시 보호 조치 요청
- 긴급한 경우 즉시 112 신고
- 경찰이 출동하면 피해자의 신변 보호 및 현장 조사 진행
- 긴급한 경우 ‘긴급 임시 조치’ 신청 가능 (가해자 접근 금지, 퇴거 조치 등)
- 가정폭력사건 신고 후 경찰서 방문
- 경찰서에서 피해자 진술서 작성
- 피해자가 원할 경우 ‘임시 보호 시설(쉼터)’로 보호 요청 가능
(2) 법원에 접근 금지 신청 (보호처분 신청)
- 법원에 '보호처분' 신청
- 경찰이 사건을 가정폭력 사건으로 분류하면 법원에 사건이 송치됨
- 피해자나 검사(경찰) 측이 접근 금지 명령을 포함한 보호처분 신청 가능
- 보호처분의 주요 내용
법원은 피해자의 안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보호처분을 내릴 수 있음- 접근 금지 (주거지, 직장, 학교 등 특정 장소)
- 통신·SNS·전화 등 연락 금지
- 피해자 주거지 퇴거 명령
- 의료·상담 프로그램 이수 명령
- 기타 필요한 조치
- 가정보호사건 심리 및 결정
- 법원은 가해자에게 접근 금지 명령을 내릴지 여부를 결정
- 심리 기간 동안 임시 접근 금지 조치 가능
3. 접근 금지 신청을 위한 서류 준비
(1) 법원 제출 서류
- 보호처분 신청서 (법원 홈페이지에서 양식 다운로드 가능)
- 가정폭력 피해 사실 진술서
- 경찰 신고 내역 또는 사건 접수증
- 의료 기록 (상해 진단서 등)
- 카카오톡,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 증거자료
- 증인 진술서(이웃, 가족 등)
4. 접근 금지 명령 위반 시 처벌
가해자가 접근 금지 명령을 위반하면 형사 처벌이 가능하며, 아래와 같은 처벌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접근 금지 명령을 어길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피해자에게 추가적인 폭력 행사 시 더 무거운 처벌 가능
5. 추가적인 피해자 보호 조치
(1) 긴급 임시 보호 조치
- 경찰이 가해자를 피해자로부터 즉시 격리
- 피해자는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쉼터) 이용 가능
- 피해자 지원 기관을 통한 심리 상담 및 법률 지원 제공
(2) 피해자 보호 기관 및 지원 센터
- 여성 긴급 전화 1366 (24시간 상담 및 보호 지원)
- 대한법률구조공단 (국선변호사 지원 가능) 132
-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법률 상담 및 소송 지원)
- 가정폭력상담소 및 피해자 쉼터
6. 접근 금지 신청 관련 유의 사항
- 피해자는 접근 금지 명령을 신청한 후에도 경찰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 가해자가 접근 금지 명령을 위반하면 즉시 경찰에 신고해야 함
- 증거를 지속적으로 확보(통화 녹음, 문자 캡처 등)하여 법적 보호를 받기 쉬운 환경을 조성
가정폭력 피해자는 경찰 신고 및 법원 보호처분 신청을 통해 접근 금지 조치를 받을 수 있으며, 법률 및 보호 기관의 지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접근 금지 명령이 발부된 후에도 가해자의 위반 여부를 면밀히 감시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필요한 법적 서류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면 말씀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