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정 변화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과 이로 인한 감정 변화 관련 모든 정보이모저모 2025. 3. 1. 20:33광고광고반응형
주요 호르몬과 감정 변화
1) 세로토닌 (Serotonin)
- 역할: 행복감, 안정감, 만족감 조절
- 부족 시: 우울감, 불안, 짜증 증가
- 증가 요인: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트립토판 함유 식품: 바나나, 견과류, 닭고기 등), 햇빛 노출
2) 도파민 (Dopamine)
- 역할: 동기부여, 보상 시스템, 쾌감 조절
- 부족 시: 무기력, 우울, 집중력 저하
- 과다 시: 과도한 흥분, 불안, 조증 증상 가능
- 증가 요인: 성취감 있는 활동, 음악 감상, 적절한 목표 설정
반응형3) 코르티솔 (Cortisol)
- 역할: 스트레스 반응 조절, 대사 작용 조절
- 부족 시: 피로, 무기력
- 과다 시: 불안, 과민 반응, 분노, 우울
- 증가 요인: 스트레스, 수면 부족, 과도한 카페인 섭취
4) 아드레날린 (Adrenaline, Epinephrine)
- 역할: 신체의 ‘싸우거나 도망치기’ 반응 조절
- 과다 시: 불안, 초조함, 분노, 공포감
- 감소 시: 무기력, 우울
- 증가 요인: 스트레스, 극한 상황 경험, 격렬한 운동
5) 노르아드레날린 (Norepinephrine)
- 역할: 집중력, 각성 상태 조절
- 부족 시: 우울, 무기력
- 과다 시: 불안, 과민 반응
- 증가 요인: 긍정적인 스트레스(적당한 목표 설정), 운동
6) 옥시토신 (Oxytocin)
- 역할: 애착 형성, 신뢰감 증가, 사회적 유대감 강화
- 부족 시: 사회적 불안, 외로움, 신뢰 부족
- 증가 요인: 신체적 접촉(포옹, 손잡기 등), 사랑하는 사람과의 교감,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
7) 에스트로겐 (Estrogen)
- 역할: 여성 호르몬, 감정 안정, 뇌 기능 조절
- 부족 시: 우울감, 짜증, 감정 기복
- 과다 시: 불안, 감정 과민
- 증가 요인: 생리 주기(배란기 증가), 식단 조절(콩류 등 피토에스트로겐 함유 식품)
8)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 역할: 진정 작용, 감정 안정
- 부족 시: 불안, 불면증, 짜증
- 과다 시: 졸림, 피로
- 증가 요인: 생리 후반기 증가, 임신기 증가
9)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 역할: 자신감, 경쟁심, 성욕 조절
- 부족 시: 무기력, 우울, 의욕 저하
- 과다 시: 공격성 증가, 충동적 행동
- 증가 요인: 운동(특히 웨이트 트레이닝), 고단백 식단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더 자세한 정보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