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건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한 3.2 %적금이 있다이모저모 2018. 4. 9. 12:17반응형
이 적금은 누구나 가입할수 있다
가입대상 제한없음 계약기간 12개월 ~ 36개월 계약금액 10,000원 이상 이자지급시기 및 방법 만기 또는 중도해지시 원금과 함께 지급하는 단리식 상품 준비물 신분증, 통장 개설용 도장(본인 거래시 본인 서명도 가능), 첫 회 불입 금액 비과세종합저축 가입 가능 - 만 65세 이상의 거주자. (단, 2015년 ~ 2019년까지 만 61세를 기준으로 매년 1세씩 상향 조정)
(2015년 : 만 61세, 2016년 : 만 62세, 2017년 : 만 63세, 2018년 : 만 64세, 2019년 : 만 65세) - 장애인복지법에 의하여 등록한 장애인, 국가 유공자에 의한 상의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 또는 가족,
생활보호대상자 - 5,000 만원 이내
특징 - 우대 조건의 선택에 따라서 0.1%에서 최대 0.5%까지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 계좌개설시 특정일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이체가 되도록 신청 ( 당/타행 모두 가능, 수수료 없음 )
- 해당상품은 인터넷뱅킹 및 스마트폰뱅킹으로 가입 불가
예금자보호안내 - 이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한도는 본 상호저축은행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이며, 5천만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되지 않습니다.
계약기간 기본금리
중도해지이율 만기후이율 12개월 ~ 36개월 2.7 - 12개월 미만 : 0.50%
- 24개월 미만 : 1.00%
- 36개월 미만 : 1.50%
현행 보통예금금리 우대사항 항목
우대사항에 따른 우대금리
- □ 내가 정하는 : _________________적금
- □ 세람저축은행 첫 번째 가입
- □ 세람저축은행 적금 재예탁(당일 해지 → 신규)
- □ 세람저축은행 정기예금 이용
- □ 세람저축은행 고객등록 5년 이상
- □ 세람저축은행 보통예금 계좌에 자동이체를 신청
- □ 세람저축은행 체크카드 이용 (최근 3개월 승인실적 30만원 이상)
- □ 자녀 3인이상 가족 (등본 및 가족관계증명서 필요)
-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
- □ 60세 이상
- □ 헌혈증서 소지 (확인증 필요)
- □ 장기기증 서약 (확인증 필요)
- □ 임산부 (산모수첩) 소지
- □ 직장인 (사원증 또는 명함 소지 시)
- □ 계약기간 2년 이상
- □ 계약기간 3년 이상
- □ 적금계좌당 매월 불입금액 50만원 이상 (가입 당일에 한함)
- □ 2인 이상 동반가입 (가입 당일에 한함)
- 2~4개 해당 : 0.1% 우대
- 5~6개 해당 : 0.2% 우대
- 7~8개 해당 : 0.3% 우대
- 9~10개 해당 : 0.4% 우대
- 11개 이상 해당 : 0.5% 우대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은행에 문의하세요
2018/04/09 - [이모저모] - 금리가 높은 적금인 꿈나무 장학적금이 있어 소개해 봅니다
2018/04/09 - [이모저모] - 이름부터 쏠쏠한 3%금리를 받을 수 있는 쏠쏠한 정기 적금을 소개 합니다
2018/04/09 - [이모저모] - 조건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한 3.2 %적금이 있다
2018/04/09 - [이모저모] - 최고 우대금리가 4.65%인 적금이 있어 소개합니다
2018/04/09 - [이모저모] - 최고 금리가 4.3%인 KEB하나은행의 1004나눔적금 을 소개 합니다
2018/04/07 - [이모저모] - 5%의 높은 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는 DGB 희망더하기적금을 소개합니다
2018/04/07 - [이모저모] - 목돈마련하기 딱 좋은 IBK사랑나눔적금 상품을 소개합니다
2018/04/07 - [이모저모] - 연 6.2%의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디딤돌적금 상품을 소개합니다
2018/04/07 - [이모저모] - 4%의 높은 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는 우리희망드림 적금에 대하여
2018/04/07 - [이모저모] - 금리가 높은 희망모아 적금이 있다
반응형 - 만 65세 이상의 거주자. (단, 2015년 ~ 2019년까지 만 61세를 기준으로 매년 1세씩 상향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