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유 수유 중 호르몬 변화와 감정 변화 관련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5. 3. 1. 21:42
    반응형

    모유 수유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며, 특히 호르몬의 변화가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모유 수유와 호르몬 변화

    모유 수유 시 주요 호르몬은 옥시토신, 프로락틴,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감정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옥시토신 (Oxytocin) - ‘사랑 호르몬’

    옥시토신은 출산과 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정서적 유대와 안정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옥시토신의 긍정적인 영향

    • 아기와의 애착 형성 촉진
    • 스트레스 완화 및 이완 효과
    • 행복감과 만족감 증가

    옥시토신이 부족할 경우

    • 불안감 및 초조함 증가
    • 수유 중 갑작스러운 슬픔 (D-MER, Dysphoric Milk Ejection Reflex, 불쾌감성 사출반사)
    반응형

    💡 D-MER (불쾌감성 사출반사)란?
    수유할 때 모유가 분출되는 순간 짧은 시간 동안 강한 우울감, 불안감, 슬픔을 느끼는 증상입니다. 이는 옥시토신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도파민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프로락틴 (Prolactin) - ‘모성 호르몬’

    프로락틴은 모유 생산을 자극하는 호르몬으로, 출산 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육아에 집중하도록 돕습니다.

    프로락틴의 긍정적인 영향

    • 모성애 증가
    • 보호 본능 강화
    • 이완감 및 졸음 유발 (야간 수유 시 도움)

    프로락틴의 부정적인 영향

    • 도파민(행복 호르몬) 억제로 인해 우울감 증가 가능
    • 장기적으로 높은 프로락틴 수치 → 무기력함, 의욕 저하

    (3)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감소

    출산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는 감정 기복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감소로 인한 변화

    • 기분 변화 심화
    • 우울감 증가 (산후 우울증 위험 요소)
    • 생식기 건조, 성욕 감소

    💡 에스트로겐과 세로토닌
    에스트로겐은 세로토닌(행복 호르몬) 생성을 촉진하는데, 출산 후 감소하면서 감정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모유 수유 중 감정 변화와 증상

    (1) 긍정적인 감정 변화

    • 아기와의 강한 유대감
    • 안정감, 평온함
    • 모성애 증대

    (2) 부정적인 감정 변화

    🔸 D-MER (불쾌감성 사출반사)

    • 모유가 나오는 순간 갑작스러운 불안, 우울, 짜증
    • 몇 초~몇 분 지속되다가 사라짐

    🔸 산후 우울감 (Baby Blues)

    • 출산 후 1~2주 내 발생
    • 이유 없이 눈물이 나거나 감정 기복 심해짐

    🔸 산후 우울증 (Postpartum Depression, PPD)

    • 지속적인 무기력, 불안, 우울감
    • 수유에 대한 부담감, 죄책감
    • 심한 경우 아기에게 관심이 줄어들거나 극단적인 생각

    🔸 산후 불안 장애

    • 수유 중 강한 걱정, 초조함
    •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음
    • 미래에 대한 과도한 불안

    🔸 산후 분노 증후군 (Postpartum Rage)

    • 작은 일에도 화가 폭발적으로 남
    • 감정 조절이 어려움
    • 배우자나 주변인과 갈등 증가

    3. 감정 변화 완화를 위한 방법

    (1) 생활 습관 조절

    ✅ 충분한 수면 확보 (수면 부족이 감정 변화 악화)
    ✅ 규칙적인 식사 & 수분 섭취 (혈당 조절 중요)
    ✅ 가벼운 운동 (산책, 요가 등)

    (2) 감정 조절 전략

    ✅ 호흡 조절, 명상, 마사지
    ✅ 감정 일기 쓰기
    ✅ 배우자, 가족, 친구와 감정 공유

    (3) 전문가 상담 및 치료

    심한 우울감이 지속되면 전문 상담 필요
    ✅ 호르몬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영양제, 약물 치료 고려 가능
    ✅ D-MER이 심할 경우 도파민 조절 치료 고려 가능

     

    모유 수유 중 호르몬 변화는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입니다. 하지만 감정 기복이 심하거나 지속적인 우울, 불안, 분노 등이 나타날 경우 적극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자신을 돌보는 것이 곧 아기를 위한 길이므로, 부담을 덜고 필요한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더 자세한 정보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