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 친척 관계와 사용하는 호칭이모저모 2025. 1. 3. 16:47반응형
가족 관계 호칭은 복잡하고 다양해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기본적인 규칙만 알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어요.
먼저, 가족 관계를 크게 나누어 볼까요?
- 직계혈족: 나를 기준으로 직계 상위(조부모, 부모)와 하위(자녀, 손자) 관계에 있는 가족
- 방계혈족: 나를 기준으로 형제자매와 그 후손을 포함한 측계혈족
1. 직계혈족
- 상위: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 하위: 아들, 딸, 손자, 손녀
2. 방계혈족
- 형제자매: 형, 오빠, 누나, 여동생
- 배우자: 남편, 아내
- 형제자매의 배우자: 형수, 아주버니, 시누이, 도련님
- 자녀의 배우자: 사위, 며느리
- 조카: 조카, 외조카
반응형먼 친척 관계의 호칭
- 4촌: 아버지의 사촌형제를 당숙이라고 부릅니다.
- 6촌: 당숙의 자녀를 재종형제라고 부릅니다.
- 8촌: 재종형제의 자녀를 삼종형제라고 부릅니다.
- 10촌: 삼종형제의 자녀를 사종형제,사종자매라고 부릅니다
- 대고모: 아버지의 고모를 대고모라고 합니다.
- 왕고모: 아버지의 고모의 딸을 왕고모라고 합니다.
며느리가 사용하는 호칭
시부모
- 시아버지, 시어머니: 가장 기본적인 호칭이며, 존칭으로 사용합니다.
- 아버님, 어머님: 친근한 사이라면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시동생, 시누이
- 시동생: 남편의 남동생을 부르는 호칭입니다.
- 시누이: 남편의 누나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 아주버님, 서방님: 예전에는 시동생을 '아주버님', 시누이를 '서방님'이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요즘에는 'OO씨'처럼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조가카
- 시조카: 남편의 조카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 OO씨: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가의 다른 친척
- 시숙, 시고모: 남편의 삼촌, 고모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 시백부, 시백모: 남편의 백부, 백모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 시외삼촌, 시외숙모: 남편의 외삼촌, 외숙모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사위가 처가의 가족 친척에게 하는 호칭
사위가 처가의 가족 친척에게 사용하는 호칭은 시대와 지역, 개인의 친밀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호칭을 사용합니다.
1. 장인, 장모
- 아내의 아버지를 장인 또는 빙부라고 부릅니다.
- 아내의 어머니를 장모 또는 빙모라고 부릅니다.
2. 처남, 처제, 처형
- 아내의 남동생을 처남이라고 부릅니다.
- 아내의 여동생을 처제라고 부릅니다.
- 아내의 언니를 처형이라고 부릅니다.
3. 그 외 친척
- 아내의 외삼촌, 외숙모 등 다른 친척들은 일반적으로 이름을 부르거나 'OO씨'와 같이 성을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과거에는 '처삼촌', '처외숙모'와 같이 '처'자를 붙여 부르기도 했지만, 현대에는 간소화되는 추세입니다.
위에 제시된 호칭은 일반적인 예시이며, 실제로는 상황과 관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