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예리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Today
Yesterday
Total
  • 부당 해고와 관련된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4. 11. 13. 14:07
    반응형

    부당해고란 무엇인가요?

    부당해고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정당한 이유 없이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근로자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해고되는 것을 말합니다.

    부당해고의 판단 기준

    부당해고 여부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 정당한 이유: 해고 사유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정당한 이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 절차의 적정성: 해고 절차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
    • 객관적인 증거: 해고 사유를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지 여부
    반응형

    부당해고의 유형

    •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 근로자의 업무 능력 부족, 징계 사유 등 정당한 해고 사유 없이 해고하는 경우이다. 근로자의 능력 부족, 근태 불량, 징계 사유 등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해고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될 수 있지만, 해고 사유가 명확하고 객관적인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 차별 해고: 성별, 나이, 종교, 장애, 출신 등을 이유로 차별하여 해고하는 경우
    • 보복 해고: 노동조합 활동, 근로기준법 위반 신고, 근로자의 권리 행사 등을 이유로 해고하는 경우
    • 정리해고 요건 미충족: 경영상의 이유로 해고하는 경우에도 절차 및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부당해고가 될 수 있습니다.
    • 형식상 정당해고: 정당한 해고 사유로 위장하여 부당하게 해고하는 경우
    • 징계 해고: 징계 사유가 부당하거나 징계 절차가 위법한 경우
    • 계약 만료 해고: 계약 기간 만료를 이유로 부당하게 해고하는 경우

    부당해고를 당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증거 수집: 해고 통지서, 급여 명세서, 근무 기록 등 관련 증거를 확보합니다.
    2. 노동 전문가 상담: 변호사, 노무사 등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자신의 권리를 확인하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  법적인 조언을 구합니다.
    3.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주소지 관할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합니다.
    4. 소송: 노동위원회의 구제 신청 결과에 불복하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절차

    1. 구제 신청: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서를 제출하고 심리를 거쳐 판정을 받습니다.
    2. 심리: 노동위원회는 근로자와 사용자의 주장을 듣고 증거를 심사합니다.
    3. 판정 결과: 노동위원회는 심리 결과를 바탕으로 부당해고 여부를 판정하고, 부당해고로 인정될 경우에는 해고 무효, 원직 복귀, 임금 지급 등의 구제 명령을 내립니다.
    4. 불복: 판정에 불복하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부당해고 구제 신청 시 유의사항

    • 시효: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증거 확보: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해야 판정에 유리합니다.
    • 전문가 도움: 노동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소송 준비: 노동위원회 판정에 불복하는 경우에는 소송을 준비해야 합니다.

    부당해고 예방

    • 근로계약서 작성: 근로계약서에 근무 조건, 해고 사유 등을 명확히 기재합니다.
    • 정당한 절차 준수: 징계나 해고 시 정당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근로자 보호 의식 함양: 근로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 근태 관리 철저: 근태 관리를 철저히 하여 근태 불량 문제를 사전에 방지합니다.
    • 성과 평가 공정하게 진행: 성과 평가를 공정하게 진행하고, 근로자에게 충분히 설명합니다.
    • 노동법 준수: 근로기준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합니다.
    • 노사 관계 개선: 노사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소통하고 협력합니다.

    부당해고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퇴직금은 받을 수 있나요? 부당해고로 인정되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는 받을 수 있나요? 부당해고로 인정되면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나요? 회사와 합의하여 해고를 인정하고 퇴직금 등을 지급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당해고 관련 자세한 정보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나요?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방노동위원회: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노무사: 노무사에게 상담을 받아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용될 수 있습니다. 부당해고를 당했다면 반드시 변호사나 노무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 자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