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노인 복지법 관련 모든 정보이모저모 2025. 3. 14. 19:01
노인복지법은 노인의 질환을 사전 예방하거나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와 요양을 통해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며,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노인의 보건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내용:정의:부양의무자: 배우자(사실혼 관계 포함)와 직계비속 및 그 배우자를 의미합니다.보호자: 부양의무자 또는 업무·고용 등의 관계로 사실상 노인을 보호하는 자를 말합니다.치매: 「치매관리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치매를 의미합니다.노인학대: 노인에 대한 신체적·정신적·정서적·성적 폭력 및 경제적 착취 또는 가혹행위, 유기 또는 방임을 포함합니다.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등이 포함되며,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노인의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
-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펼치는 창의적인 직업인 "개발자" 관련 모든 정보이모저모 2025. 1. 22. 17:11
개발자는 컴퓨터 프로그램, 앱, 웹사이트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 웹 서비스, 게임 등은 모두 개발자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개발자의 역할요구사항 분석: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는 설계를 합니다.프로그래밍: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을 구현합니다.테스트: 개발된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오류를 수정합니다.유지보수: 개발된 프로그램이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합니다.개발자가 되기 위한 준비컴퓨터 과학 지식: 데이터 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등 컴퓨터 과학의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프로그래밍 언어 숙달: 파이썬..
-
이력서, 자기소개서, 입사 지원서 차이점과 잘 작성 하는 방법이모저모 2024. 10. 29. 16:29
취업 준비를 하다 보면 이력서, 자기소개서, 입사지원서 등 다양한 서류를 작성해야 합니다. 각각의 서류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우신 분들을 위해, 각 서류의 개념과 차이점, 그리고 잘 쓰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1. 이력서, 자기소개서, 입사지원서: 무엇이 다를까?이력서:정의: 개인의 학력, 경력, 자격증 등 객관적인 정보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록하는 문서입니다.목적: 기업에 지원자의 기본적인 스펙을 보여주고, 면접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구성: 학력, 경력, 어학 능력, 자격증, 수상 경력 등으로 구성됩니다.자기소개서:정의: 이력서에 기재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글입니다.목적: 지원자의 성격, 가치관, 경험, ..
-
북한이탈주민 새출발 장려금 자격 및 신청 방법슬기로운 한국 생활 2024. 7. 25. 18:28
□ 윤석열 정부는 코로나 확산 사태 및 물가상승 등으로 어려운 환경에 놓인 북한이탈주민 지원 강화를 위해 ‘정착기본금’을 인상하고 ‘새출발장려금’ 지원을 신설하였습니다. □ 우선 국내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이 순조롭게 정착할 수 있도록 ‘정착기본금’을 지난 정부시절 800만원(1인세대 기준)에서 올해부터 1,000만원으로 인상하였습니다. o 정착기본금은 국내에 생활기반이 없는 북한이탈주민이 사회생활 초기에 기초적인 생계 및 가구·가전 등 생활물품을 해결할 수 있게 하는 필수 금액입니다. o 통일부는 정착기본금을 지난해에 세대별로 100만원 증액(1인세대 기준 800만원→900만원)한데 이어 금년에도 100만원씩 추가 증액(1인 세대 기준 900만원→1,000만원)하여 2024년에 1인세대 기준 1천만 원으..
-
북한이탈주민 취업보호 지침슬기로운 한국 생활 2024. 5. 1. 06:01
제정 2000. 2. 11. 통일부지침, 개정 2002. 1. 11. 통일부지침, 개정 2004. 1. 7. 통일부지침 개정 ,2005. 1. 28. 통일부지침, 개정 2007. 12. 20. 통일부지침 ,개정 2009. 9. 18. 통일부지침, 개정 2010. 11. 1. 통일부지침, 개정 2014. 4. 1. 통일부지침 ,개정 2019. 7. 1. 통일부지침 제1조(목적) 이 지침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 라 한다) 제17조 및 제 17조의2,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34조부터 제35조의2까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3조의2부터 제3조의 4까지..
-
북한이탈주민(탈북민) 취업보호담당 부서 (전국 70개소) 전화번호슬기로운 한국 생활 2024. 4. 30. 15:26
* 각 행정기관의 사정에 따라 취업보호담당관 연락처에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서울서울고용센터 02-2004-7082서초고용센터 02-580-4917 서울강남고용센터 02-3468-4906서울동부고용센터 02-2142-8406서울서부고용센터 02-2077-6071서울남부고용센터 02-2639-2360서울북부고용센터 02-2171-1868서울관악고용센터 02-3282-9234중부인천고용센터 032-460-4778인천북부고용센터 032-540-5822인천서부고용센터 032-540-2032부천고용센터 032-320-8948 김포고용센터 031-999-0922의정부고용센터 031-828-0911고양고용센터 031-931-4567경기수원고용센터 031-231-7908용인고용센터 031-289-2246화성고용..
-
북한이탈주민(탈북민) 거주지보호담당 부서 (전국 245개소) 전화번호슬기로운 한국 생활 2024. 4. 30. 14:28
* 각 행정기관의 사정에 따라 거주지보호담당관 연락처에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서울특별시청 남북협력과 02-2133-86722 종로구청 자치행정과 02-2148-14433 중구청 생활보장과 02-3396-53544 용산구청 자치행정과 02-2199-63775 성동구청 자치행정과 02-2286-51396 광진구청 자치행정과 02-450-71487 동대문구청 자치행정과 02-2127-40578 중랑구청 마을협치과 02-2094-04229 성북구청 자치행정과 02-2241-220910 강북구청 자치행정과 02-901-608911 도봉구청 자치행정과 02-2091-220712 노원구청 복지정책과 02-2116-364613 은평구청 주민참여협치과 02-351-630714 서대문구청 자치행정과 02-33..
-
북한이탈주민(탈북민)정착장려금(취업장려금)에 대하여슬기로운 한국 생활 2024. 4. 25. 19:37
개요1) 근거• 「북한이탈주민법」 제21조(정착금 등의 지급)• 「북한이탈주민법 시행령」 제39조(정착금의 지급 및 감액 기준 등)• 「북한이탈주민법 시행규칙」 제6조의2(장려금의 지급사유 등)• 「북한이탈주민 정착금 등 지급에 관한 지침」 제9조 내지 제13조2) 적용대상• 2005년 5월 1일 이후부터 2013년 4월 29일 이전 사회진출자(하나원 70~ 176기)는 종전 규정을 그대로 적용• 2013년 4월 30일 이후 사회진출자(하나원 177기 이후)부터는 2013년 4월 30일 개정된 지침(직업훈련장려금, 취업장려금)을 적용• 「북한이탈주민법」 개정(2014년 11월 29일 시행)으로 2014년 11월 29일 이후 입국하여 보호결정을 받은 자에 대해서는 직업훈련장려금 및 자격취득 장려금은 미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