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EB1A6F42C8E7B206498135E85B09289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거인증 원인 및 병태생리, 증상,진단, 치료, 관리 등 관련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5. 2. 23. 11:21
    반응형

    1. 정의

    • 거인증
      어린 시절, 성장판이 열려있는 동안 과도한 성장호르몬(GH) 분비로 인해 신체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자라는 질환입니다.
    • 말단비대증
      성인에서는 성장판이 닫힌 후에도 과다한 GH 분비로 인해 손, 발, 얼굴 등의 말단 부위가 두꺼워지고 비대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 주 원인:
      대부분은 뇌하수체의 양성 종양(주로 선종)에 의해 발생하며, 이 종양이 과도한 GH를 분비합니다.
    • 병태생리:
      과도한 GH는 간에서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IGF-1)의 생성을 촉진하여 뼈와 연조직의 과도한 성장을 유도합니다.
      • 소아에서는 성장판이 열려있어 키와 신체 전체가 비정상적으로 커집니다.
      • 성인에서는 뼈 길이의 성장은 없으나, 뼈의 두께와 모양이 변형되어 얼굴, 손, 발 등이 두꺼워집니다.
    반응형

    3. 임상 증상

    거인증 (소아)

    • 신체적 특징:
      • 비정상적으로 큰 키와 체구
      • 길어진 사지(팔, 다리)
      • 때때로 사춘기 지연 및 생식기 발달 문제
    • 기타:
      •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성장 패턴

    말단비대증 (성인)

    • 신체적 변화:
      • 손, 발, 얼굴 등 말단 부위의 비후
      • 턱, 코, 귀 등의 변화 및 두개골의 두꺼워짐
    • 동반 증상:
      • 관절 통증
      • 심장 비대, 고혈압, 당뇨병 등 대사성 이상

    때때로 시력 문제나 수면 무호흡증

    4. 진단 방법

    • 임상 평가:
      환자의 성장 패턴, 신체 변화 및 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혈액 검사:
      • GH 및 IGF-1 농도 측정
      • 포도당 부하 검사(구체적으로 GH 억제 검사)를 실시하여 GH 분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 영상 검사:
      • 뇌 MRI 또는 CT 스캔을 통해 뇌하수체 종양 존재 여부를 확인합니다.
    • 방사선 검사:
      • 손, 두개골 등 뼈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X-레이 촬영

    5. 치료 및 관리

    • 외과적 치료:
      • 경비강 수술(비강을 통한 수술)로 뇌하수체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적인 치료법입니다.
    • 약물 치료:
      • 소마토스타틴 아날로그(예: 옥테오트라이드, 란레오트라이드)를 사용해 GH 분비를 억제합니다.
      • GH 수용체 길항제(예: 페그비수맙)나 도파민 작용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치료:
      • 수술 후 잔존 종양이나 재발 위험이 있는 경우 추가 치료로 시행합니다.
    • 추적 관찰:
      • 치료 후에도 GH 및 IGF-1 수치, 심혈관계, 대사 기능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6. 합병증 및 예후

    • 합병증:
      •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심장 비대, 심부전, 당뇨병, 고혈압, 관절염, 수면 무호흡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후:
      •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고,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거인증은 소아에서 과도한 성장호르몬 분비로 인해 신체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자라는 드문 질환이며, 성인에서는 이와 유사한 상태가 말단비대증으로 나타납니다. 정확한 진단(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과 적절한 치료(수술, 약물, 방사선 치료 등)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장기적인 건강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더 자세한 정보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