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EB1A6F42C8E7B206498135E85B09289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위험 요인, 증상,진단, 치료 등 관련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5. 2. 22. 19:58
    반응형

     

    1. 자궁경부암 개요

    1.1 정의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 부분인 **자궁경부(cervix)**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주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virus) 감염과 관련이 있으며, 조기에 발견하면 비교적 치료가 용이한 암 중 하나입니다.

    1.2 발생 위치

    자궁경부는 자궁의 아랫부분으로 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부위에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 암으로 발전합니다. 자궁경부암은 보통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SCC)**과 **선암(Adenocarcinoma)**으로 구분됩니다.

     

    2.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위험 요인

    2.1 주요 원인

    (1)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

    • HPV는 성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일부 고위험군(특히 HPV 16형과 18형)이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입니다.
    • 대부분의 HPV 감염은 자연적으로 사라지지만, 지속적인 감염이 있으면 암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2.2 위험 요인

    (1) 조기 성 경험 및 다수의 성 파트너

    • HPV 감염 위험이 높아짐

    (2) 흡연

    • 담배 속의 발암물질이 자궁경부 세포에 영향을 미쳐 암 발생 위험 증가

    (3) 장기간 경구피임약(OC) 사용

    • 5년 이상 사용 시 자궁경부암 위험 증가

    (4) 면역력 저하

    • HIV 감염, 면역억제 치료 등으로 면역력이 낮아지면 HPV 감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큼

    (5) 출산 경험

    • 여러 번 출산한 여성에서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반응형

    3. 자궁경부암의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진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1 초기 증상

    • 비정상적인 질 출혈 (생리 기간이 아닐 때, 성관계 후 출혈 등)
    • 월경량 변화 및 지속적인 출혈
    •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악취가 나거나 피가 섞인 분비물)

    3.2 진행된 상태의 증상

    • 골반 통증 및 요통
    • 성교 시 통증
    • 배뇨 곤란 또는 혈뇨
    • 하지 부종 (암이 림프절을 침범할 경우)

    4. 자궁경부암의 진단 방법

    4.1 기본 검사

    (1)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Pap smear, Pap test)

    •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자궁경부의 이상 세포를 조기에 발견 가능
    • 간단하고 통증이 적으며, 정기적으로 받으면 조기 발견율이 높아짐

    (2) HPV 검사

    • HPV 감염 여부 및 유형을 확인하는 검사
    • Pap 검사와 병행하여 진행될 수 있음

    4.2 추가 정밀 검사

    (3)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Colposcopy)

    • 자궁경부를 확대하여 관찰하며, 이상 조직이 있으면 조직 검사를 시행

    (4) 조직 생검(Biopsy)

    • 자궁경부에서 일부 조직을 채취하여 암 여부를 확인

    (5) MRI, CT, PET-CT 검사

    • 암의 진행 상태 및 전이 여부 평가

    5. 자궁경부암의 진행 단계(병기, FIGO Stage)

    자궁경부암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됩니다.

    병기(Stage) 설명

    1기 암이 자궁경부에 국한됨
    2기 암이 자궁경부를 넘어 질 상부 또는 주변 조직까지 침범
    3기 암이 골반 벽, 질 하부, 주변 림프절까지 전이됨
    4기 암이 방광, 직장, 다른 장기(폐, 간 등)로 전이됨

     

    6. 자궁경부암의 치료 방법

    6.1 수술 치료

    • 초기 단계(1기~2기 초반):
      • 자궁절제술(Hysterectomy): 자궁을 제거하는 수술
      • 광범위 자궁절제술: 자궁과 주변 조직(질 일부, 림프절 포함) 제거

    6.2 방사선 치료

    • 국소적으로 진행된 암에 사용
    •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 후 보조 치료로 사용

    6.3 항암 화학요법(Chemotherapy)

    • 진행성 암(3기 이상) 또는 수술 및 방사선 치료와 병행

    6.4 면역 치료 및 표적 치료

    • 최근 면역관문억제제(PD-1, PD-L1 억제제) 연구가 진행 중

    7. 자궁경부암 예방 방법

    7.1 HPV 백신 접종

    • 가다실(Gardasil) 4가, 9가 / 서바릭스(Cervarix) 2가 백신이 있음
    • 만 9~45세 여성 및 남성 접종 가능
    • 2회 또는 3회 접종으로 90% 이상의 예방 효과

    7.2 정기적인 검진

    • Pap 검사: 20세 이상 여성은 1~2년마다 검사 권장
    • HPV 검사: 30세 이상 여성은 Pap 검사와 병행 추천

    7.3 건강한 생활습관

    • 금연, 균형 잡힌 식사, 면역력 유지

    8. 결론 및 요약

    자궁경부암은 HPV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과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기 때문에 Pap 검사 및 HPV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위험 요인을 피하는 것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자궁경부암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