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EB1A6F42C8E7B206498135E85B09289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부정 출혈(비정상 자궁 출혈)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등 관련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5. 2. 22. 17:53
    반응형

    부정 출혈(비정상 자궁 출혈)이란?

    부정 출혈(비정상 자궁 출혈, abnormal uterine bleeding, AUB)은 정상적인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예상치 못한 시기에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합니다. 생리 기간이 아닌데도 출혈이 나타나거나, 생리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거나 양이 많아지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1. 부정 출혈의 원인

    부정 출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크게 기능적 원인과 기질적 원인으로 나뉩니다.

    1) 기능적 원인 (호르몬 불균형)

    • 배란 관련 문제
      • 배란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무배란성 출혈(ovulatory dysfunction)로 인해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 호르몬 불균형
      •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의 불균형으로 인해 자궁 내막이 불규칙하게 탈락하면서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특히 사춘기, 출산 후, 폐경 전후 시기에 호르몬 변화로 인해 부정 출혈이 흔히 발생합니다.
    • 피임약 및 호르몬제 사용
      • 경구 피임약, 호르몬 치료제 사용 시 초기 부정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피임약을 복용하는 중간에 빼먹거나, 호르몬제 용량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출혈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반응형

    2) 기질적 원인 (자궁 및 난소 질환)

    • 자궁내막증식증
      •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면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궁근종
      • 자궁근종(양성 종양)으로 인해 출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자궁용종
      • 자궁내막에 용종(폴립)이 생기면 부정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자궁경부 이상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염 등)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이형성증, 성병(STD)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난소 낭종 (난소 종양)
      • 난소에 생긴 낭종이나 종양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어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골반염 (PI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 골반 내 염증이 발생하면 자궁 내막이 손상되어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기타 원인

    • 임신 관련 출혈
      • 착상혈: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될 때 발생하는 소량의 출혈
      • 유산(자연유산, 계류유산): 임신 초기 출혈의 중요한 원인
      • 자궁외임신: 수정란이 자궁이 아닌 다른 부위(나팔관 등)에 착상하면서 출혈 발생
    • 폐경기 출혈
      •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호르몬 변화로 인해 주기가 불규칙해지고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액 응고 장애
      • 혈액 응고와 관련된 질환(혈우병,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으면 출혈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약물 부작용
      • 항응고제(와파린, 아스피린 등)나 특정 항암제, 항생제 등이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및 과도한 운동
      • 스트레스, 다이어트, 격렬한 운동 등이 생리 불순 및 부정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부정 출혈의 증상

    •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출혈 발생
    • 출혈량 변화: 생리보다 많거나 적은 출혈
    • 출혈 색깔 변화: 밝은 빨간색, 갈색, 검붉은색 등
    • 출혈 기간 증가: 7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생리통과 유사한 통증 동반 가능
    • 성관계 후 출혈
    • 냉(질 분비물) 증가 및 악취 (감염이 원인일 경우)

    3. 부정 출혈의 진단

    1)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 최근 생리 주기, 출혈 양상, 스트레스, 피임약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 성관계 후 출혈 여부, 임신 가능성 여부 등을 조사합니다.

    2) 검사 방법

    • 소변 검사: 임신 여부 확인 (착상혈, 유산, 자궁외임신 감별)
    • 혈액 검사: 호르몬 수치 검사, 빈혈 검사, 혈액 응고 검사
    • 질 초음파 검사: 자궁, 난소 상태 확인 (근종, 낭종, 자궁내막 상태 등)
    • 자궁경부 세포검사 (Pap Smear): 자궁경부암 검사
    • 자궁내막 조직검사: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암 감별
    • 성병 검사: 클라미디아, 임질, HPV 감염 여부 확인

    4. 부정 출혈 치료 방법

    1) 원인에 따른 치료

    • 호르몬 치료
      • 경구 피임약, 프로게스테론 제제 등을 이용하여 호르몬 균형을 맞춤
    • 자궁내막증식증 치료
      • 자궁내막 소파술(긁어내는 시술), 호르몬 치료
    • 자궁근종 치료
      • 작은 근종은 경과 관찰, 큰 근종은 약물 치료 또는 수술(근종 절제술, 자궁적출술)
    • 자궁용종 제거
      • 용종이 있는 경우 자궁경을 이용한 제거술 시행
    • 자궁경부 이상 치료
      • 자궁경부암, 이형성증 등 발견 시 레이저 치료, 원추절제술 시행
    • 골반염 치료
      • 항생제 치료

    2) 일반적인 관리 및 생활 습관 개선

    •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 격렬한 운동, 과로 피하기
    • 철분 보충 (빈혈 예방)
    • 피임약 규칙적으로 복용

    5. 병원에 가야 할 상황

    다음과 같은 경우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 생리가 아닐 때 대량 출혈 발생
    • 생리 기간이 10일 이상 지속됨
    • 성관계 후 반복적인 출혈
    •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출혈 발생
    • 심한 복통, 어지러움, 창백함 동반
    • 악취가 나는 질 분비물 동반

    부정 출혈은 가볍게 넘길 수도 있지만, 자궁이나 난소의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더 자세한 정보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