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예리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Today
Yesterday
Total
  • 깡통 전세를 이용한 전월세 사기 유형,예방 방법. 대처법 등 관련 모든 정보
    이모저모 2025. 2. 22. 09:58
    반응형

    깡통전세는 전세 보증금이 매매 가격보다 높거나 거의 비슷한 경우를 말하며,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온전히 돌려줄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와 맞물려 깡통전세를 이용한 전월세 사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많은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

     

    깡통전세 사기 유형

    • 매매 가격보다 높은 전세 계약: 집주인이 매매 가격보다 높은 전세 보증금을 받아 차액을 가로채는 수법입니다.
    • 다수의 세입자와 계약: 한 건물에 여러 명의 세입자와 동시에 전세 계약을 맺고 보증금을 편취하는 수법입니다.
    • 월세 계약을 전세 계약으로 속임: 월세 계약을 전세 계약으로 속여 세입자로부터 보증금을 가로채는 수법입니다.
    • 가짜 집주인과 계약: 가짜 집주인이 등장하여 전세 계약을 맺고 보증금을 가로채는 수법입니다.
    • 이중 계약: 세입자에게는 전세 계약을, 집주인에게는 월세 계약을 맺었다고 속이는 방식입니다.
    반응형

    깡통전세 사기 예방 방법

    • 등기부등본 확인: 계약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확인하여 집주인, 근저당 설정 여부, 선순위 채권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 전세가율 확인: 전세가율(매매 가격 대비 전세 보증금 비율)이 높은 집은 깡통전세 위험이 크므로 피해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를 넘으면 깡통주택으로 판단합니다.
    • 주변 시세 확인: 주변 시세를 꼼꼼히 확인하여 시세보다 지나치게 높은 전세 보증금을 요구하는 집은 피해야 합니다.
    • 공인중개사 선택: 믿을 수 있는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을 진행하고, 계약서 작성 시 특약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에 가입하여 보증금을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계약 전 융자 여부 확인: 계약 전 융자 여부를 확인하고, 융자가 있다면 안전한 수준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계약 전 집 상태 확인: 계약 전 집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하자나 문제가 있다면 계약서에 명시해야 합니다.

    깡통전세 사기 피해 시 대처 방법

    • 내용증명 발송: 집주인에게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보증금 반환을 요구합니다.
    •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법원에 임차권 등기명령을 신청하여 우선변제권을 확보합니다.
    • 전세 보증금 반환 소송: 법원에 전세 보증금 반환 소송을 제기하여 보증금을 돌려받습니다.
    • 경찰 신고: 사기 피해 사실을 경찰에 신고하고, 관련 증거 자료를 제출합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법적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전세사기 피해 지원센터: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전세사기 피해 지원센터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더 자세한 정보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