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저모
기아 자동차 통신 불량에 의한 램프류 이상 작동 및 전구의 위치
ju999
2025. 4. 12. 09:34
반응형
통신 불량에 의한 램프류 이상 작동
미등 스위치나 전방 안개등 스위치를 켜면 해당 램프가 켜지지 않으나 헤드램프 스위치를 켜면 헤드램프 및 미등, 안개등 등이 켜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차량 전자 제어 장치나 통신 계통의 고장에 의한 것일 수 있으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검을 의뢰하십시오.
- 반드시 규정된 용량의 전구를 사용하십시오.
경고
전구 교체 시 규격에 맞지 않는 용량의 전구를 사용할 경우 퓨즈 단선 또는 이상 작동 및 기타 배선 관련 장치의 손상 및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램프류는 세차 혹은 우천 주행 등의 물기가 있는 조건에서 렌즈 내면에 습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램프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자연 현상이므로 기능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램프 내부에 습기가 발생했을 때, 전조등을 켠 후 주행 시 제거되며, 램프의 크기/위치/환경조건에 따라 습기가 제거되는 수준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습기가 지속적으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센터 혹은 서비스협력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전구의 위치
전구의 위치(전방)
헤드램프 - A 타입

헤드램프 - B 타입

안개등

- 전조등(하향)(LED 타입)
- 전조등(상향)(LED 타입)
- 방향지시등(벌브 타입)
- 방향지시등(LED 타입)
- 주간 주행등/차폭등(LED 타입)
- 안개등(LED 타입)
전구의 위치(후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A 타입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B 타입

번호판등

보조제동등

후진등

- 제동등/미등(전구 타입)
- 방향지시등(전구 타입)
- 미등(LED 타입)
- 제동등(LED 타입)
- 방향지시등(LED 타입)
- 번호판 등(LED 타입)
- 보조제동등(LED 타입)
- 후진등 (벌브타입)
전구의 위치(측면)
옆 방향지시등

- ㅡ옆 방향지시등(LED 타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