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저모

신경계 약물의 종류 및 주요 부작용: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예방 및 관리

ju999 2025. 2. 24. 10:51
반응형

신경계 약물은 신경계에 작용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경계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1. 신경계 약물의 종류 및 주요 부작용

1)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

중추신경계(CNS)에 작용하는 약물들은 뇌와 척수에 영향을 미치며, 진정, 흥분, 통증 조절 등의 역할을 합니다.

(1) 진정제 및 수면제 (Benzodiazepines, Barbiturates, Z-drugs)

  • 대표적인 약물: 디아제팜(Diazepam), 알프라졸람(Alprazolam),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졸피뎀(Zolpidem)
  • 부작용:
    • 졸음, 어지러움, 운동 실조(Ataxia)
    • 의존성, 내성 및 금단 증상
    • 기억력 저하, 인지 장애
    • 호흡 억제 (고용량 투여 시 위험)
반응형

(2) 항정신병제 (Antipsychotics)

  • 대표적인 약물: 할로페리돌(Haloperidol), 리스페리돈(Risperidone), 올란자핀(Olanzapine), 클로자핀(Clozapine)
  • 부작용:
    • 추체외로계 증상(EPS): 파킨슨증, 근긴장이상, 정좌불능증
    • 지연성 운동 이상증(Tardive Dyskinesia)
    • 체중 증가,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
    • 진정 작용 및 기립성 저혈압
    • 드물게 악성 신경이완 증후군(NMS) 발생 가능

(3)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 삼환계 항우울제(TCA):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이미프라민(Imipramine)
    • 부작용: 항콜린성 작용(입 마름, 변비, 시야 흐림), 기립성 저혈압, 부정맥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플루옥세틴(Fluoxetine), 설트랄린(Sertraline)
    • 부작용: 성기능 장애, 불면, 위장 장애, 세로토닌 증후군 위험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벤라팍신(Venlafaxine), 둘록세틴(Duloxetine)
    • 부작용: 혈압 상승, 위장 장애, 불면

(4) 항경련제 (Antiepileptics)

  • 대표적인 약물: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발프로산(Valproic acid), 라모트리진(Lamotrigine), 가바펜틴(Gabapentin)
  • 부작용:
    • 어지러움, 졸음, 운동 실조
    • 간 독성(특히 발프로산)
    • 혈액 이상(백혈구 감소, 무과립구증)
    • 피부 발진(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위험)

2) 말초신경계 작용 약물

말초신경계(PNS)에 작용하는 약물들은 자율신경계와 운동신경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1) 콜린성 약물 (Cholinergic Drugs)

  • 대표적인 약물: 필로카르핀(Pilocarpine),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 부작용:
    • 과다 발한, 침 분비 증가
    • 위장관 과활동(설사, 복통)
    • 서맥 및 저혈압

(2) 항콜린성 약물 (Anticholinergic Drugs)

  • 대표적인 약물: 아트로핀(Atropine), 스코폴라민(Scopolamine), 벤즈트로핀(Benztropine)
  • 부작용:
    • 입 마름, 변비, 시야 흐림
    • 배뇨 곤란
    • 인지 기능 저하 (노인에서 특히 위험)

(3) 교감신경 흥분제 (Adrenergic Agonists)

  • 대표적인 약물: 에피네프린(Epinephrine), 살메테롤(Salmeterol), 도부타민(Dobutamine)
  • 부작용:
    • 고혈압, 빈맥, 불안 및 불면
    • 심계항진 및 협심증 악화 가능

(4) 교감신경 차단제 (Adrenergic Antagonists)

  • 대표적인 약물: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메토프롤롤(Metoprolol)
  • 부작용:
    • 서맥, 저혈압
    • 기관지 수축 (천식 환자에서 위험)
    • 피로 및 우울감

2. 신경계 약물 부작용 예방 및 관리

1) 용량 조절

  • 최소 유효 용량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량
  • 갑작스러운 중단을 피하고 점진적 감량 필요 (특히 벤조디아제핀, 항우울제)

2) 부작용 모니터링

  • 정기적인 혈압, 심박수, 혈액 검사 모니터링
  • 신경학적 이상 증상(떨림, 경련, 운동 이상) 체크

3) 위험군 고려

  • 노인: 항콜린제, 벤조디아제핀 주의 (인지 기능 저하 위험)
  • 간·신장 질환자: 신진대사 저하로 용량 조절 필요
  • 임산부: 신경계 약물 중 일부는 태아에 위험할 수 있음

신경계 약물은 효과적인 치료 수단이지만,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 선택 시 환자의 상태와 부작용 위험을 신중히 고려해야 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