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저모

소화기계 약물의 부작용 관련 모든 정보 : 제산제, 진경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변비 치료제, 양성자펌프억제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

ju999 2025. 2. 24. 10:42
반응형

소화기계 약물의 부작용은 약물의 종류, 용량,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화기계 약물의 부작용

 

1. 제산제 (Antacids)

제산제는 위산을 중화하여 위산 역류(위식도 역류 질환, GERD) 및 위궤양을 완화하는 약물입니다.

부작용

  • 알루미늄 함유 제산제 (Aluminum hydroxide)
    • 변비
    • 인산 결핍 (장기 사용 시 저인산혈증)
    • 골다공증 위험 증가
  • 마그네슘 함유 제산제 (Magnesium hydroxide)
    • 설사
    •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고마그네슘혈증
  • 칼슘 함유 제산제 (Calcium carbonate)
    • 변비
    • 위산 과다 분비 반동 효과 (약물 중단 후 위산이 과다 분비될 수 있음)
    • 신장 결석 위험 증가
반응형

2.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H2 Receptor Antagonists, H2RA)

대표적인 약물: 라니티딘(Ranitidine, 퇴출됨), 파모티딘(Famotidine), 시메티딘(Cimetidine)

부작용

  • 두통
  • 설사 또는 변비
  • 어지러움
  • 고령자에서 정신착란 및 환각 (특히 시메티딘)
  • 시메티딘: 남성에서 여성형 유방증(유즙 분비 포함), 성욕 감퇴

3. 양성자펌프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s, PPI)

대표적인 약물: 오메프라졸(Omeprazole), 에소메프라졸(Esomeprazole), 란소프라졸(Lansoprazole), 판토프라졸(Pantoprazole)

부작용

  • 장기간 사용 시 위산 분비 감소로 인한 감염 위험 증가 (예: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
  • 장기간 사용 시 칼슘 흡수 저하 →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 증가
  • 비타민 B12 흡수 저하 → 빈혈, 신경 장애 발생 가능
  • 신장 기능 저하 및 급성 간질성 신염 (드물지만 심각할 수 있음)

4. 위장관 운동 촉진제 (Prokinetics)

대표적인 약물: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돔페리돈(Domperidone), 이토프리드(Itopride)

부작용

  • 메토클로프라미드
    • 추체외로계 부작용 (근육 경직, 안면 경련, 불수의적 움직임 등)
    • 졸음 및 피로
    • 장기간 사용 시 지연성 운동 이상증 (Tardive dyskinesia, 특히 노인에서 위험)
  • 돔페리돈
    • 심장 부정맥 (QT 연장 가능)
    • 젖분비 증가 (프로락틴 상승)

5. 진경제 (Antispasmodics)

대표적인 약물: 부틸스코폴라민(Butylscopolamine), 디사이클로민(Dicyclomine)

부작용

  • 구강 건조
  • 시야 흐림
  • 변비
  • 소변 정체
  • 고령자에서 섬망(Delirium) 위험 증가

6. 제산제 (Antiemetics)

대표적인 약물:

  • 도파민 길항제: 메토클로프라미드, 프로클로르페라진(Prochlorperazine)
  • 세로토닌 길항제: 온단세트론(Ondansetron), 그라니세트론(Granisetron)
  • 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메클리진(Meclizine)

부작용

  • 도파민 길항제: 추체외로계 부작용, 졸음
  • 세로토닌 길항제: 변비, QT 연장
  • 항히스타민제: 졸음, 어지러움

7. 설사 치료제 (Antidiarrheals)

대표적인 약물: 로페라미드(Loperamide), 비스무스(Bismuth subsalicylate)

부작용

  • 로페라미드: 변비, 심장 부정맥 (QT 연장)
  • 비스무스: 검은 변, 이독성(이명)

8. 변비 치료제 (Laxatives)

(1) 팽창성 완하제 (Bulk-forming laxatives)

대표적인 약물: 차전자피(Psyllium), 메틸셀룰로스(Methylcellulose)

  • 복부 팽만감
  • 장 가스 증가

(2) 삼투성 완하제 (Osmotic laxatives)

대표적인 약물: 락툴로스(Lactulose),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 복부 팽만감
  • 설사

(3) 자극성 완하제 (Stimulant laxatives)

대표적인 약물: 비스사코딜(Bisacodyl), 센나(Senna)

  • 복통
  • 전해질 불균형 (장기 사용 시)

소화기계 약물은 적절히 사용하면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을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장기간 사용 시 신장, 간, 심장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정보는 일반 정보이며 더 자세한 정보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